한국약제학회가 탄생하기까지
한국약제학회는 1970년부터 단한가지 대한민국의 건강을 위해 달려왔습니다.1970학회의 태동기
이해 7월 4일에는 대한약학회 약제학 분과학회(회장 우종학)가 열려 임원선거 및 학회운영에 관한 토의가 있었으며학계대표 | 병원약국대표 | 연구소대표 | 제약계대표 |
---|---|---|---|
김상민 (동덕여대) 김신근 (서울대학교) |
강형태 (서울대부속병원) 문정술 (국립의료원) |
지달현 (국립보건원) 이규송 (국립보건원) |
정필근 (일동제약) 김준호 (한일약품) |
용재익 교수 (숙명여대), 김종갑 교수 (중앙대), 한세호 교수 (충북대), 심관섭 (영진약품), 이병국 (동아제약), 김정수 (동아제약)
한국약제학회 창립의 해 1971
이해 7월 4일에는 대한약학회 약제학 분과학회(회장 우종학)가 열려 임원선거 및 학회운영에 관한 토의가 있었으며첫째
한국약제학의 국제적인 고립성으로부터 일대 비약을 꾀한다.둘째
산학일치의 선도적인 학회로서 역할한다.셋째
실제약학과의 공고한 학문적인 유대를 강화한다.넷째
의약품제제기술은 물론 과학화를 촉진한다.다섯째
외국학회와의 유대 및 학술정보교환을 적극 추진한다.위원장 | 학계 | 병원약국 | 제약계 | 연구원 | 개국약사 |
---|---|---|---|---|---|
우종학 | 김상민 (동덕여대) 김수억 (경희대) 김재백 (원광대) |
강형태 (서울의대) 노태선 (경희의대) 장봉순 (시립아동병원) |
심관섭 (영진약품) 이영수 (일성) 정필근 (일동) |
지달현 (보연원) 이규송 (보연원) 이계주 (보연원) |
김성준 (대약부회장) 윤상철 (서울시약 중구분회장) 한성은 (보광사약국) |
1973학회사무실 확보
그 당시 한국과학기술자총연합회가 주관하여 우리나라 각종 과학기술단체가 한 건물 에 들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