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2-1996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약학사
1996-1998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약학석사
1998-2001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약학박사
-
2003-2005 University of Kentucky 박사후연구원
2005-2012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부교수
2012-2017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2017-현재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
펩타이드 약물의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 개발
항체 약물의 고농도 포뮬레이션 개발
PEGylation 기술을 이용한 펩타이드/단백질 bio-better 개발
-
- ● 흡수촉진제(permeation enhancer)
펩타이드 약물 (semaglutide 등)의 위장관 흡수 촉진제
- ● 고분자나노입자(polymeric nanoparticles)
Dendrimer 기반 nanomaterials의 특성 분석
- ● 마이크로입자(microparticle)
PLA/PLGA 기반 마이크로스피어의 in vitro release test
- ● 유연물질분석
합성펩타이드 품질 평가 기술
-
1. Nanostructured glycan architecture is important in the inhibition of influenza A virus infection, Nature Nanotechnology, 2017, 12(1), 48-54.
2. Dual peptide-dendrimer conjugate inhibits acetyl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induced protein and improves survival in sepsis, Biomaterials, 2020, 246, 120000.
3. Characterization of the reversed-phase chromatographic behavior of PEGylated peptides based on the poly(ethylene glycol) dispersity, Analytical Chemistry, 2016, 88(22), 10848-10853.
-
- ● UPLC-HRMS (Waters BioAccord)
- ● MALS (Wyatt miniDAWN)
- ● NanoDSF (Nanotemper Prometheus NT48)
-
펩타이드, GLP-1 수용체 작용제, 항체, PEGylation, PLGA 마이크로스피어, 단백질, 경구흡수, 투과촉진, 위장관흡수, 포뮬레이션, 제제, 합성펩타이드, 유연물질, Dendrimer , 덴드리머, 고분자나노입자, P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