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자 상세정보

조혜영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 연구실명
    생물약제학 및 PK/PD 연구실
  • 담당자연락처
    031-881-7167
  • 학력사항

    Post-doc. Department of Pharmaceutic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USA
    Ph.D. in Biopharmaceutics, College of Pharmac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S. in Biopharmaceutics, College of Pharmac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B.S. in Pharmacy, College of Pharmac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경력사항

    2012~현재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2006~2011 식품의약품안전청 임상제도과/약리연구과 보건연구관
    (현) 보건복지부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자문단
    (현)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현) 국가신약개발사업단 투자심의위원회 위원
    (현) 보건복지부 스마트임상시험신기술개발연구사업단 운영위원회 위원장
    (현) 첨단재생바이오 글로벌 혁신 규제자유특구 자문위원화 위원
    (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위원회 위원
    (현)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건강기능식품 표시·광고 자율심의위원회 위원
    (현) 보건복지부 스마트임상시험신기술개발연구사업단 운영위원회 위원장
    (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위원회 위원
    (현) 식품의약품안전처 자체규제심사위원회 위원
    (현) 식품의약품안전처 위해성평가 전문위원회 위원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심의정책위원회 위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7기/제8기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위원
    보건복지부 임상연구급여평가위원회 위원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심의위원회 위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위해평가 전문위원회 위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기기 허가심사 전문위원
    (현) 대한임상약리학회 부회장
    (현) (사)대한약학회 학술자문단
    (현) (사)한국약제학회 수석부회장/이사
    (현) (사)한국FDC규제과학회 규제과학연구원장
  • 핵심연구분야

    Bio UPLC 이용 신약 후보물질(저/고분자) 분석 및 체내동태 평가
    생리학적 기반 약물동태(PBPK) 모델링&시뮬레이션 연구
    장기지속형제제(LAI) 등 (비)임상 설계 및 first-in-human dose 산출
    생약(한약)-합성의약품 약물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 평가
    신약 후보물질의 ADME 및 체내동태 예측
  • 연구분야

    • ● 약물동태(ADME)

      (신약) 후보물질의 비임상/임상 ADME 및 약물동태 평가

    • ● 바이오의약품 약물동태(펩타이드, 항체 등)

      바이오의약품(펩타이드, 항체, siRNA 등)의 비임상/임상 ADME 및 약물동태 평가

    • ● In vitro-in vivo extrapolation (IVIVE)

      (신약) 후보물질의 in vitro 실험 데이터에 기반한 인체 파라미터 및 약물동태 예측

    • ● 약물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

      간세포, CYP450 효소 등을 이용한 (신약) 후보물질의 대사 저해 및 유도 평가

    • ● PK, PD, PK/PD 모델링

      다양한 수학적 모델을 활용한 약동/약력학 평가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의약품 개발 지원

    • ● IVIVC

      IVIVC 모델 개발 및 검증을 통해 용출시험 데이터로부터 약물동태 예측

    • ● PBPK 모델링

      생리학적 약물동태학(PBPK) 모델링을 통한 임상/비임상 약물동태 예측

    • ● 안구 질환 모델

      신약 후보물질(점안제)의 안구 조직분포, 약동학 및 약효 평가

    • ● 고분자 약물(펩타이드, 단백질약물 등) 분석

      바이오의약품(펩타이드, 항체, siRNA 등)의 LC-MS/MS를 이용한 혈장·조직·요·분변 중 생체시료 정량분석법 개발 및 검증

    • ● 저분자 약물 분석

      저분자 약물의 LC-MS/MS를 이용한 혈장·조직·요·분변 중 생체시료 정량분석법 개발 및 검증

  • 대표논문,저서,특허

    대표 특허
    1. 생리학적 약물동태학 핵심 모델(등록번호: 10-2428869, 등록일자: 2022.07.29)
    2. 전기분무기술을 이용한 루프롤라이드 함유 서방성미립구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10-2412628, 등록일자: 2022.06.20)
    3. L-TH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남용 치료제(등록번호:10-1054093, 등록일자: 2011.07.28)

    대표 논문(corresponding author)
    1. Impact of Banhabaekchulcheonmatang (Banxia Baizhu Tianma Tang) and Hwangryeonhaedoktang (Huang Lian Jie Du Tang) on Edoxaban: Herb-Drug Interaction Study in Healthy Subjects, J Ethnopharmacol, in accepted (2024)
    2. A journey into siRNA therapeutics development: A focus on PK/PD Models, Eur J Pharm Sci, in revision (2024)
    3. PBPK model‑based gender-specific risk assessment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using human biomonitoring data, Arch. Toxicol., 98, 3269-3288 (2024)
    4. Inter-Species Pharmacokinetic Modeling and Scaling for Drug Repurposing of Pyronaridine and Artesunate, Int. J. Mol. Sci. 25, 6998 (2024)
    5. Integration of modern science into herbal medicine: application of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modeling in understanding nonclinical study of Cinnamomum cassia extract, J. Pharm. Invest., 54(6), 803-815 (2024)
    6. Sex, age, and species differences of perfluorooctanoic acid modeled by flow-versus permeability-limited physiologically-based pharmacokinetic models, Toxicology, 505, 153806 (2024)
    7. Multicompartmental pharmacokinetic evaluation of enavogliflozin eye drop formulation: Understanding its distribution to posterior segments, J. Pharm. Invest., 54, 329-343 (2024)
    8. Approaches for estimating the clinical starting dose of new dosage forms: An example of a long-acting injectable formulation of finasteride, Int. J. Pharm., 631C, 122510-122519 (2023)
    9.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ing and simulation of choline in healthy Korean subject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choline alfoscerate, J. Pharm. Invest., 52(3), 331-339 (2022)
    10. Long-acting injectable donepezil microspheres: Formul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J. Control. Release, 340, 72-86 (2021)
  • 산학협력성과

    (신약) 후보물질의 Pharmacokinetic 기반 비임상-임상 사전 예측 평가
    IVIVC/PBPK/PD모델을 활용한 장기지속형주사제(LAI)의 안전성·유효성 예측 및 평가 플랫폼 개발
    임상시험 설계를 위한 siRNA의 PK/PD 모델링 연구
    황반변성치료제 신약후보 물질의 안구 분포 및 약동학 평가
    약물재창출을 활용한 COVID19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동학 및 조직 분포 특성 평가
    Prodrug / 장기지속형주사제(LAI) 개량신약 개발을 위한 약동학 및 약력학 평가
    PBPK 모델을 활용한 n-nitrosodimethylamine(NDMA) 등 유해물질의 인체 위해성 평가
    생약(한약)-합성의약품-식품 상호작용 연구
    * 의약품 개발 관련 인허가 및 PK-PD 상관관계 자문
  • 보유장비

    ● LC-MS/MS: Agilent 6495D, Agilent 1290 Bio UPLC
    ● LC-MS/MS: Agilent 6490, Agilent 1290 UPLC
    ● HPLC-UV: Waters 2489, Waters e2695 HPLC
    ● Dissolution Tester: KDT-600
    ● Electrospray Machine: ESR100
    ● PK/PD Platform: Phoenix WinNonlin™
    ● PBPK modeling platform: Simcyp™ PBPK Simulator
  • 키워드

    약물동태, 약동학, PK, 약물동력학, 약력학, PD, ADME, PBPK, Modeling, Simulation, population PK, PK-PD, PK/PD,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excretion, Pharmacokinetics, Toxicokinetics, TK, PBPK modeling, 체내동태, 약동력학, 흡수, 분포, 대사, 배설, 생체시료분석, FIH, first-in-human, 장기지속형, 제제설계, 임상시험, 용량 설계, 생물학적동등성,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