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석사
University of Iowa 약학대학 박사
-
- (현)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 STH Pharm 대표이사
- SK 케미칼 신약연구실장(상무)
- 건일제약 R&D본부장(전무)
- 미국 Teva(구 Cephalon) Drug Product Development 수석연구원 겸 그룹장
- 미국 Astellas(구 Yamanouchi) Pharmaceutical Development 선임연구원 겸 팀장
- 한국약제학회장 및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부회장 역임,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자문교수 재임, 미국 Rho Chi Pharmaceutical Honor Society 회원, 국가과학기술심의위원회 위원, 국고보조사업 평가위원,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위원, 국가신약개발사업단 평가위원,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안전기술정책위원회, 의약품심사 및 신속심사자문단, 초기임상시험심사자문단 위원, 국민건강보험 전문평가위원 재임/역임
-
- 신약후보물질의 비임상/임상시험 및 상업용 제제화 및 제조공정 개발
- 신약 유효물질의 물성 규명 및 표면/물리적 변형, 개발가능성 평가 및 후보물질 결정지원 연구
- 다기능/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 개발연구
- 약물전달시스템 및 제제 기술을 이용한 환자맞춤형 개량신약 개발연구
- QbD 적용/구현,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연구
-
- ● 프리포뮬레이션(preformulation)
신약 유효물질의 물성규명 및 개발가능성 평가, 후보물질 결정지원 및 물리적 변형 최적화 연구
- ● 구강속붕해정(ODT)
승화성 물질 사용 분무건조 마이크로/메조 세공성 고체분산 과립과 경구흡수, 안정성 및 맛차폐 증진 Dextrin/Silica 사용 마이크로입자 형성을 통한 구강속붕해정 개발에 관한 연구
- ● 방출제어정(서방정, 장용성 등)
다중약물의 서방출 및 장용지연방출 조절 미니정캡슐 및 다층정 복합신약 제제화 및 공정개발에 관한 연구
- ● 지질 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s)
장기지속약효, 암표적 및 항암효과의 증진을 위한 고체지질나노입자 기반 주사제 개발에 관한 연구
- ● 하이드로겔(hydrogel)
경구투여 서방출성 젤리제, 다중약물 차별 방출조절 반고형 겔 및 분말 나노겔 개발 연구
경구투여 단일/다중 액상 및 분말유제 개발 연구
- ●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uality by design, QbD)
QbD 도입 기반구축 사업기획, 제형별 QbD 적용 모델 및 기초기술 개발 연구
- ● 정제화/캡슐충진(tableting/capsule filling)
고용량, 저타정성, 용출불량 다중약물의 QbD 접근방식 활용 캡슐/정제화 최적화 연구
-
Multivariate Statistical Optimization of Tablet Formulations Incorporating High Doses of a Dry Herbal Extract. Pharmaceutics, 11(2), 79.
Mesoporous Pravastatin Solid Dispersion Granules Incorporable into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J Pharm Sci, 107(7), 1886-1895.
Improved Tumor Targeting and Antitumor Activity of Camptothecin 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s by Preinjection of Blank Solid Lipid Nanoparticles. Biomed Pharmacother, 80, 162-172.
고정용량의 실로스타졸 서방출 및 스타틴 일반방출 미니정제를 포함하는 1일 1회 경구복용 복합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10-1920307)
메조세공성 고체분산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10-1901622)
암로디핀 경구 붕해형 정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10-1584919)
-
- 글로벌 신물질 신약개발 6건 제제 및 제품화 주도 참여
- 개량신약 및 전문의약품 62건 제품화 총괄, 제약기술 33건 개발 책임
- 허혈성 심·신혈관질환 노인환자군 맞춤형 신개념 약물치료 융복합 기반기술 개발: 약물전달, 제제화 및 약물복합화 기반기술 개발
-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제도 도입기반 구축: 제형별 QbD 적용 모델 및 기초기술 개발 사업수행
-
- ● High speed homogenizer(EmulsFlex), HPLC/UPLC, GC,
- ● 증기수착분석기(Quant), 입도분석기(Malvern), Rheometer(Kinexus)
- ● 유동층과립기(Diosna), 고잔단과립기(Key), 분무건조기(Buchi)
- ● 다발타정기(Sejong), 공정분석 FT-NIR
-
신약개발 약제학, 신약 개발가능성 평가, 신약 후보물질 결정지원, 표면 및 물질 변형, 제제 및 공정개발, 다기능지능형 DDS, 환자맞춤형 개량신약, 복합신약, 방출제어정, 반고형제, 하이드로겔, 지질나노입자, 마이크로캡슐화, 고체분산, QbD(설계기반품질고도화), 제조 및 품질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