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자 상세정보

박희준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조교수
  • 연구실명
    약제학 연구실
  • 담당자연락처
    02-901-8589
  • 학력사항

    학사: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약학사
    석사: 충남대학교, 약학과 약제학 전공, 약학석사
    박사: 충남대학교, 제약학과 제제학 전공, 약학박사
  • 경력사항

    2012.7~2017.7 ㈜동아제약 연구소: 책임연구원, 제품연구/개발
    2017.9~2019.8 미국 퍼듀대학교 약학대학: Post-Doctoral Research Assistant
    2019.10~2020.8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계약연구교수
    2020.9~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조교수
  • 핵심연구분야

    흡입제, 비강-뇌 약물전달 (Nose to brain), 경피제, 점안제, 서방출 주사제, 시럽제, 점비제, 완제의약품 제제설계, 완제의약품 제조공정 설계,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완제의약품 기준 설정, 제트밀(jet mill), 분무건조 (spray dry), 초임계 (supercirtical fluid), 유동층 (fluidized bed), 습식밀링 (Wet milling), Microfluidization, 초음파 분쇄, 막유화, 에멀젼, 현탁제, 리포좀, Liquid crystal, PLGA microsphere, MVL (multi-vesicular liposome)
  • 연구분야

    • ● 건조분말 흡입제형(DPI)

      - QbD기반 제제 및 공정설계
      : 제제조성 및 입자 설계 (Micro-nano solid particle)
      : 입자 제조공정 확립 (Jet-mill, Spray-dry)
      - 폐흡입제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및 기준설정 (CMC 자료 구성)
      : 함량, 수분, 평균전달용량, 전달용량균일성, 제제균일성, 유효입자량, 총분사횟수, 안정성평가, 투과도평가

    • ● 방출제어정(서방정, 장용성 등)

      - QbD기반 제제 및 공정설계
      : 코팅 및 매트릭스 기반 방출제어 과립, 펠렛, 정제
      : 코팅 및 타정 공정 확립 (고형제 크기 최적화, 유동층 코팅, 팬코팅, 분무건조코팅)
      -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및 기준설정
      : 함량, 제제균일성, 용출, 안정성평가

    • ● 고분자 미립자(polymeric nano/micro particles)

      - QbD기반 제제 및 공정설계
      : 케미컬 및 바이오의약품 PLGA 마이크로스피어, Liquid-crystal 겔, MVL리포좀 제제설계
      : 제조공정 확립 (막유화, 분무건조, 용매증발, 초임계)
      -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및 기준설정
      : 함량, 제제균일성, 입자크기 및 분포, 입자특성(크기분포, 표면적, 기공분포), 약물방출, 안정성평가

    • ● 점안제

      - QbD기반 제제 및 공정설계
      : 수성용액제제, 겔제제, Micro-nano 분산제제(에멀젼, 현탁제, 리포좀, Liquid-crystal)
      : 점안제 제조공정 확립 (Wet-milling, Microfluidization, Ultrasonic Homogenizer, Shear-based Homogenizer)
      -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및 기준설정

    • ● 반고체(하이드로겔, W/O, O/W)

      - QbD기반 제제 및 공정설계
      - 비임상평가용 제제 제조 및 품질평가
      -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및 기준설정
      : 함량, 제제균일성, Rheology, 약물방출, 투과도평가, 안정성평가

    • ● 시럽제

      - QbD기반 제제 및 공정설계
      : 수성용액 및 현탁제 제제설계 (맛/향미 설계 포함)
      - 비임상평가용 제제 제조 및 품질평가
      -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및 기준설정
      : 함량, 맛/향미평가, Rheology, 안정성평가

    • ● 점비제

      - QbD기반 제제 및 공정설계
      : 수성기반 용액/분산제제 및 비강용 건조분말 제제 설계
      : Nose-to-brain 타겟 제제 설계
      - 점비제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및 기준설정 (CMC 자료 구성)
      : 비강내 약물 deposition 평가
      : 함량, 평균전달용량, 전달용량균일성, 제제균일성, 안정성평가, 투과도평가

  • 대표논문,저서,특허

    Injectable sustained-release poly(lactic-co-glycolic acid)(PLGA) microspheres of exenatide prepare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emulsion process based on a design of experiment approach. Bioeng Transl Med, 8(3), 2023.
    Surface modification strategies for high-dose dry powder inhalers. J Pharm Investig, 51, 2021.
    Complexation of exenatide and cyclodextrin: an approach for the stabilization and sustained release of exenatide in PLGA microsphere. Carbohydr Polym, 266, 2021.
    Optimization of bilayer tablet manufacturing process for fixed dose combination of sustained release high-dose drug and immediate release low-dose drug based on quality by design (QbD). Int J Pharm, 605, 2021.
    Physical stability of dry powder inhaler formulations. Expert Opin Drug Deliv, 17(1), 2020
    Correlations between surface composition and aerosolization of jet-milled dry powder inhaler formulations with pharmaceutical lubricants. Int J Pharm, 568, 2019.
  • 보유장비

    ● Next generation impactor (NGI, 흡입제 유효입자량 측정 장치)
    ● Nasal Cast - Alberta Idealised Nasal Inlet (AINI,
    ● Spray dry (분무 건조 장비)
    ● Jet mill (제트 밀링 장비)
    ● Fluidized bed granulator and coater (유동층 과립 및 코팅)
    ● 타정기 (Tablet press)
    ● 과립기 (Granulator)
    ● 용출기 (dissolution tester)
    ● 입도분석기 (particle size analyzer)
    ●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 키워드

    흡입제, 비강-뇌 약물전달 (Nose to brain), 경피제, 점안제, 서방출 주사제, 시럽제, 점비제, 비강-뇌 약물전달, Nose to brain, 완제의약품 제제설계, 완제의약품 제조공정 설계, 완제의약품 규격시험 평가, 완제의약품 기준 설정, 제트밀(jet mill), 분무건조 (spray dry), 초임계 (supercirtical fluid), 유동층 (fluidized bed), 습식밀링 (Wet milling), Microfluidization, 초음파 분쇄, 막유화, 에멀젼, 현탁제, 리포좀, Liquid crystal, PLGA microsphere, MVL(multi-vesicular lipos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