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자 상세정보

김동욱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부교수
  • 연구실명
    산업약학 연구실
  • 담당자연락처
    053-950-8579
  • 학력사항

    2004.03 ~ 2010.02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2011.03 ~ 2015.08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박사
  • 경력사항

    2015.10 ~ 2017.08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2017.09 ~ 2022.09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조교수
    2022.10 ~ 현재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부교수
  • 핵심연구분야

    3D프린터 활용 신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위체류, 필름, 방출조절, 다층, 마이크로니들 제형 등
    고온용융압출 및 분무건조 활용 제제연구: 약물 가용화, 임플란트, 3D프린팅 접목 연구 등
  • 연구분야

    • ● 3D 프린팅 제형

      다양한 3D프린터를 활용한 신규 약물전달시스템의 개발 (위체류, 필름, 방출조절, 다층, 마이크로니들 제형 등)

    • ● 방출제어정(서방정, 장용성 등)

      분무건조기 및 HME 장비를 활용한 방출제어 연구

    • ● 위체류정(gastro-retentive system)

      3D프린터를 활용한 위체류정 개발 및 평가

    • ● 고분자나노입자(polymeric nanoparticles)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연구

    • ● 마이크로입자(microparticle)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연구

    • ● 마이크로캡슐화(microencapsulation)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연구

    • ● 고온용융압출(hot melt extrusion, HME)

      고온용융압출 장비를 활용한 제제연구 (가용화, 임플란트, 3D프린팅 접목)

  • 대표논문,저서,특허

    Park HJ, Kim DW. (2024). Customizable Self-Microemulsifying Rectal Suppositories by Semisolid Extrusion 3D Printing. Pharmaceutics, 16(11), 1359.
    Park YJ, Kim DW. (202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t-melt–extruded diquafosol tetrasodium formulations for ophthalmic inserts: A design of experiments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659, 124249.
    Yang HS, Kim DW. (2023). Fabrication of gastro-floating famotidine tablets: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based semisolid extrusion 3D printing. Pharmaceutics, 15(2), 316.
  • 보유장비

    ● 3D 프린터 (MakerBot Replicator 2X, ROKIT Dr. INVIVO)
    ● 고온용융압출기 (Hot-Melt Extruder, Thermo HAAKE MiniCTW)
    ● 분무건조기 (Spray Dryer, Yamato ADL311-SA)
    ● 물성측정기 (Texture Analyzer, Brookfield CT3)
    ● 실체현미경 (Stereoscopic Microscopic, Nikon SMZ18)
  • 키워드

    3D 프린팅, 신규제형, 위체류정, 마이크로니들, 고온용융압출, 임플란트, 분무건조, 고체분산체, SEDDS, 가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