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9월 15일(금)
The-K 호텔 서울 본관 2층 가야금홀
한국약제학회가 “미래의약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및 약물전달 기술 활용전략”이라는 주제로 “2023 제제기술워크숍”을 개최하며, 회원님들과 제약바이오산업 관계자 여러분을 초청합니다.
미래의약 개발은 우리나라의 주요 성장동력 중 하나인 제약바이오산업이 글로벌 중심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것입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통해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6대 강국을 달성하기 위한 4대 지원전략과 10대 중점 추진과제를 수립하고 있으며, 앞으로 5년 후에는 ▲ 연매출 1조원 이상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 창출 ▲ 연매출 3조원 이상 글로벌 50대 제약사 3곳 육성 ▲ 의약품 수출 2배 ▲ 제약바이오 일자리 15만 개 확대 ▲ 임상시험 글로벌 3위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R&D 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함께하여,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혁신적인 미래의약 개발을 위해 비용을 절감하고 개발 단계를 단축하며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습니다.
신약개발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높은 규제적 요구사항 및 과학적 복잡성 등으로 인해 성공률이 낮은 특성이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과 약물전달 기술의 융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의약품 산업과 환자 치료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제제기술워크숍은 9월15일(금)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미래의약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및 약물전달 기술 활용전략”을 주제로 인공지능/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정밀의학 및 신약개발 연구, AI기술 기반 의약품 제형설계 및 제조공정 플랫폼, 시뮬레이션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통한 제제기술 디지털 트윈, 탑스커버리(TOPscovery) 기반 펩타이드 약물 발굴 및 전달 플랫폼, 펩타이드/단백질 약물 전달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의약품 개발 전략, 항암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및 경구용 항암제 개발전략 등의 내용이 다뤄질 예정입니다. 또한, 국내 1호 디지털 치료제 솜즈(Somzz)의 의료기술 혁신,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현황과 로드맵의 내용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제제기술워크숍을 통해 전달되는 귀한 정보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에 종사하고 계시는 많은 연구자분께 인공지능 및 약물전달 기술을 활용한 미래의약 개발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후 성공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되시길 기원하며, 여러분의 적극적인 후원과 참여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시간 | 내용 | |
---|---|---|
09:00 – 09:50 | 등록 |
사회 : 이윤석 교수 (한국약제학회 총무위원장)
|
09:50 – 10:00 | 개회사 |
원권연 교수 (한국약제학회 회장)
|
10:00 – 10:10 | 축사 |
노연홍 회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Session I10:10 – 12:10
Chair : 최두형 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
10:10 – 10:50 | ![]() |
이주상 교수 (성균관대학교 의학과/인공지능학과)
인공지능/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정밀의학 및 신약개발 연구
|
10:50 – 11:30 | ![]() |
김주은 교수 (국민대학교 바이오의약학과)
AI기술 기반 의약품 제형설계 및 제조공정 플랫폼
|
11:30 – 12:10 | ![]() |
심정길 수석 (한국알테어)
시뮬레이션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통한 제제기술 디지털 트윈
|
12:10 – 13:20 | 중 식 | |
Session II13:20 – 15:20
Chair : 박상엽 팀장 (㈜삼양홀딩스)
|
||
13:20 – 14:00 | ![]() |
정경호 본부장 (㈜에임메드)
국내 1호 디지털 치료제 솜즈(Somzz)의 의료기술 혁신
|
14:00 – 14:40 | ![]() |
박윤정 교수/CTO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나이벡)
탑스커버리(TOPscovery) 기반 펩타이드 약물 발굴 및 전달 플랫폼
|
14:40 – 15:20 | ![]() |
김동환 센터장 (㈜대웅테라퓨틱스)
펩타이드/단백질 약물 전달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의약품 개발 현황 및 전략
|
15:20 – 15:40 | Coffee Break | |
Session III 15:40 – 17:40
Chair : 김관영 센터장 (㈜대웅제약)
|
||
15:40 – 16:20 | ![]() |
김정태 대표이사 (한국다이이찌산쿄㈜)
항암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 개발 사례
|
16:20 – 17:00 | ![]() |
박경미 부사장/CDO (㈜지놈앤컴퍼니)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현황과 로드맵: 면역항암치료 사례
|
17:00 – 17:40 | ![]() |
추성남 연구소장 (대화제약㈜)
경구용 항암제 제형 개발 전략: 파클리탁셀 및 이리노테칸 적용 사례
|
17:40 – 17:45 | 워크숍 총평 |
윤유석 교수 (한국약제학회 학술위원장)
|
17:45 – 18:00 | 폐회사 및 수료증 수여 |
업체명 | 모집분야 | 비고 |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
|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약생산센터) |
|
|
대원제약㈜ |
|
병역특례 가능 2명 |
신풍제약㈜ |
|
병역특례 가능 1명 |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 |
|
병역특례 가능 1명 |
㈜유영제약 |
|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
|
|
한국휴텍스제약㈜ |
|
|
환인제약㈜ |
|
구분 | 사전등록 | 현장등록 | ||||
---|---|---|---|---|---|---|
1명 | 2명 | 3명 (이상) | 1명 | 2명 | 3명 (이상) | |
회원 | 220,000원 | 380,000원 (190,000원/인) |
510,000원 (170,000원/인) |
270,000원 | 480,000원 (240,000원/인) |
660,000원 (220,000원/인) |
비회원 | 250,000원 | 440,000원 (220,000원/인) |
600,000원 (200,000원/인) |
300,000원 | 540,000원 (270,000원/인) |
750,000원 (250,000원/인) |
학생 | 80,000원 | 100,000원 |
구분 | 연회비 |
---|---|
이사 | 200,000원 |
이사(종신) | 170,000원 |
평의원 | 80,000원 |
평의원(종신) | 50,000원 |
일반회원 | 30,000원 |
학생회원 | 10,000원 |
※ 카드결제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행사 2주일 이전(9월 1일 이전) 환불 요청 시 | 80% 환불 |
---|---|
행사 2주일~1주일전(9월 8일 이전) 환불요청 시 | 50% 환불 |
행사 1주일전(9월 9일)~행사당일 | 환불 불가 |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12길 70(구 주소: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02번지)
연락처 02-571-8100
지하철
버스
공항버스이용
김포공항에서 올때
수서역(SRT)에서 올때
행사명 | 지원내용 | 신청등급 | ||||
---|---|---|---|---|---|---|
Diamond | Platinum | Gold | 기기전시(부스) | 책자 지면 광고 | ||
600만원 이상 | 400만원 | 200만원 | 250만원 | 100만원 | ||
2023 제제기술워크숍 (2023. 9. 15) |
등록비 할인 (등록 인원 무제한) |
50% | 30% | 15% | 15% | - |
학회 학술대회 페이지에 후원사 배너 광고 (다음 학술행사 전까지 게재) |
● | ● | ● | - | - | |
행사장 내 현수막 로고 | ● | ● | - | - | - | |
행사장 로비 프로그램 배너에 로고 삽입 | ● | ● | ● | ● | - | |
초록집에 지면광고 및 후원사 로고 게재 | 뒷표지, 앞표지 안쪽면, 뒷표지 안쪽면 | 최상 위치 우선 배치 (내지 1면) | 내지 1면 | - | 내지 1면 | |
후원사 홍보 동영상 상영 (등록, 중식, 휴식 시간) |
3회 (총 30분 이내) |
1회 (10분 이내) |
- | - | - |